
양달개비·자주닭개비·자로초라고도 하는 외떡잎식물 분질배유목 닭의장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자주달개비, 꽃은 5월경에 피기 시작하고 자줏빛이 돌며 꽃줄기 끝에 모여달린다.북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잎의 나비 2.5cm 정도이고 중앙에서 2개로 접히며 꽃의 지름이 3∼5cm인 것을 큰자주달개비(T. virginiana)라고 하는데, 꽃색도 하늘색·흰색·홍색 등이고 꽃잎이 많아진 겹꽃 등이 있다.


한약재의 이름
오가피(五加皮)ㆍ황경나무껍질[黃蘗皮]ㆍ뽕나무뿌리껍질[桑白皮]ㆍ느릅나무속껍질[楡白皮]ㆍ산이스랏씨[郁李仁]ㆍ복숭아씨[桃仁]ㆍ살구씨[杏仁]ㆍ탱자[枳殼]ㆍ회화나무열매[槐實]ㆍ회화나무꽃[槐花]ㆍ송진[松脂]ㆍ연밥[蓮子]ㆍ조피나무열매[川椒]ㆍ오배자(五倍子)ㆍ복령(茯苓) 붉은 것과 흰 것 두 종류가 있다. ㆍ복신(茯神)ㆍ안식향(安息香)ㆍ산골[自然銅]ㆍ돌고드름[禹餘糧]ㆍ하늘타리[天圓子]ㆍ새삼씨[兎絲子]ㆍ고무딸기열매[覆盆子]ㆍ오미자(五味子)ㆍ나팔꽃씨[牽牛子] 흰 것과 검은 것의 두 가지가 있다. ㆍ질경이씨[車前子]ㆍ찔레씨[蒺梨子]ㆍ백부자(白附子)ㆍ백출(白朮)ㆍ창출(蒼朮)ㆍ창포말(菖蒲末)ㆍ석창포(石菖蒲)ㆍ쥐방울[馬兜苓]ㆍ쇠비름[馬齒莧]ㆍ붓꽃[馬藺]ㆍ부들꽃[蒲黃]ㆍ택사(澤瀉)ㆍ도라지[桔梗]ㆍ탱알[紫莞]ㆍ삽주[薊草] ㆍ수자해좆뿌리[天麻]ㆍ수자해좆싹[赤箭]ㆍ가위톱[白歛]ㆍ삿갓풀뿌리[蚤休]ㆍ검산풀뿌리[續斷]ㆍ절국대뿌리[漏蘆]ㆍ박새[藜蘆]ㆍ족도리풀뿌리[細辛]ㆍ칡뿌리[葛根]ㆍ석죽화[瞿麥]ㆍ외나물뿌리[地楡]ㆍ승검초뿌리[當歸]ㆍ마뿌리[山藥]ㆍ하눌타리뿌리[括樓根]ㆍ버들옷[大戟]ㆍ자리공뿌리[商陸]ㆍ검화뿌리껍질[白蘇皮]ㆍ매자기뿌리[京三稜]ㆍ여우오줌풀뿌리[鶴蝨]ㆍ나리뿌리[百合]ㆍ감대뿌리[虎杖根]ㆍ두룹뿌리[獨活]ㆍ두여머조자기[天南星]ㆍ쇠무릎[牛膝]ㆍ사자발쑥[獅子足艾]ㆍ도꼬마리[蒼耳]ㆍ시호(柴胡)ㆍ끼절가리뿌리[升麻]ㆍ함박꽃뿌리[芍藥] 붉은 것과 흰 것 두 가지가 있다.ㆍ호본(蒿本)ㆍ구리때뿌리[白芷]ㆍ끼무릇뿌리[半夏]ㆍ현삼(玄蔘)ㆍ쓴너삼뿌리[苦蔘]ㆍ더위지기[茵陳]ㆍ진봉[秦]ㆍ현호색(玄胡索)ㆍ부처손[卷栢]ㆍ참외뿌리[土瓜根]ㆍ속서근풀[黃芩]ㆍ단너삼뿌리 黃耆]ㆍ으름덩굴[木通]ㆍ으름[林下夫人]ㆍ낙석(絡石)ㆍ지모(知母)ㆍ회초미뿌리[貫衆]ㆍ수뤼나물뿌리[葳靈仙]ㆍ바곳[草烏頭]ㆍ방장초(放杖草)ㆍ살남람(殺男藍)ㆍ들쑥[漆]ㆍ며래뿌리[萆]ㆍ이리어금니[狼牙]ㆍ하국[旋覆花]ㆍ겨우살이꽃[金銀花]ㆍ금등화[金燈花] 백변두(白扁豆)ㆍ양귀비[粟]ㆍ차조기[紫蘇]ㆍ영생이[薄荷]ㆍ소야기[香薷]ㆍ악실(惡實)ㆍ겨자[芥子]ㆍ삼씨[麻子]ㆍ회향(回香)ㆍ생지황(生地黃)ㆍ장군풀[大黃]ㆍ청목향(靑木香)ㆍ정가[荊芥]ㆍ해바라기씨[葵子]ㆍ무우씨[蘿葍子]ㆍ순무우씨[蔓菁子]ㆍ참외꼭지[眞苽帶]ㆍ맨드라미꽃[鷄冠花] 붉은 것과 흰 것 두 종류가 있다. ㆍ감국(甘菊)ㆍ잇[紅花]ㆍ율무[薏苡]이다.

자생식물로 이른 봄(∼5월)에 개화하는 종류로는 복수초, 변산바람꽃, 호랑버들, 갯버들, 영춘화, 돌단풍, 얼레지류, 복주머니란, 현호색류, 솜방망이류, 앉은부채, 애기괭이밥, 모데미풀, 족도리풀, 제비꽃류, 붓꽃류, 구슬붕이류, 조개나물, 노루귀류 등이 있다.
늦은 봄(5∼6월)에 개화하는 종류 할미꽃류, 머위, 대극, 등대풀, 고비류, 관중, 히어리, 괭이눈류, 꼬리진달래, 처녀치마류, 미선나무, 홀아비꽃대, 미치광이풀류, 장수만리화, 팥꽃나무, 박태기나무, 떡쑥, 바람꽃류, 민들레류, 벌깨덩굴, 삼지구엽초, 인동덩굴, 앵초류, 별꽃류, 중의무릇, 세뿔석위, 산일엽초, 마가목, 새우란류, 산딸나무, 진달래, 광릉요강꽃, 명자꽃, 개느삼, 철쭉, 으름덩굴, 산작약, 우산이끼, 수정란풀, 솜나물, 금창초, 천남성류, 겹황매화, 감자난초, 좀씀바귀, 고광나무, 양지꽃류, 옥매화류, 동의나물, 섬바디, 가문비나무, 은대난초, 함박꽃나무, 타래난초, 으아리류, 등나무류, 윤판나물, 약난초, 뱀딸기, 산딸기나무, 석잠풀, 약모밀, 섬자리공, 금낭화, 꿀풀, 지치, 구상나무류, 자란, 미나리아재비류, 광대수염, 연령초, 줄댕강나무, 골무꽃류, 노박덩굴, 갈매기난초, 탱자나무, 붉은병꽃나무, 민백미꽃, 요강나물, 복주머니란, 박쥐나무, 골담초, 오미자, 좁쌀풀류, 백리향류, 쉬땅나무, 배풍등, 병아리난, 둥굴레류, 미나리냉이, 고추냉이, 끈끈이주걱, 갯기름나물, 분홍장구채, 흰붓꽃, 돌창포류, 물레나물, 고추나물, 뻐꾹채, 여뀌류, 노인장대, 모감주나무, 등대시호, 나도옥잠화, 잠자리난류, 지황, 피나물, 쥐오줌풀, 범꼬리풀, 갯취, 벌노랑이류, 천마, 산수국, 풀솜대, 소엽맥문동, 해오라비난초, 애기솔나물, 기린초류, 붉은호장근, 닭의장풀, 분홍바늘꽃, 매발톱꽃류, 뜰보리수, 원추리류, 나리류, 자주꽃방망이, 며느리밥풀류, 연꽃류, 초롱꽃류, 금강초롱, 참배암차즈기, 비비추류, 패랭이꽃류, 층꽃풀, 황근, 복분취, 승마류, 마타리류, 동자꽃류, 큰까치수영, 절굿대, 부추류, 엉겅퀴류, 짚신나물, 꿩의다리류, 긴산꼬리풀, 부처꽃류, 황금, 노루오줌류, 바위채송화, 금방망이, 우산나물류, 해란초, 모시대류, 백도라지, 털쥐손이, 무릇, 익모초, 톱풀류, 참바위취, 체꽃류, 키다리난초, 오이풀류, 산비장이, 좀작살나무, 큰제비고깔, 능소화, 종덩굴, 괴불주머니류 등이 있다.
여름(7∼8월)에 개화하는 종류 용담류, 진범류, 곰취, 분취류, 더덕, 만삼, 상사화류, 백양꽃, 병아리풀, 솜다리류, 구기자, 은방울꽃, 구름떡쑥, 미역취, 잔대류, 수염가래꽃, 물봉선류, 참당귀, 박하, 투구꽃류, 돌쩌귀류, 범부채, 사철난류, 송이풀류, 새삼, 이질풀류, 바위솔, 등골나물, 꽃무릇 등이 있다.
가을(9∼11월)에 개화하는 종류 구절초류, 개미취류, 꿩의비름류, 금불초, 수리취, 감국, 산국, 배초향, 꽃향유, 해국, 쑥부쟁이류, 호랑가시나무, 고들빼기류, 겨우살이류, 털머위, 팔손이나무가있다.
도시와 농촌이 하나되는 이숲 www.esu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