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비에 좋은 술은 뭐가 있을까?
국립농업과학원 발효가공식품과에서는 생활문화 한방약술 코너에서 진액 부족으로 인한 변비, 요통, 무릎 관절통, 어지러움증에 좋다고 약주회편(藥酒匯編)을 인용해 담그는법을 이렇게 소개하고 있다.

재료는 흑임자(검정깨), 두충(목면피), 천우슬(쇠무릎)이며, 세 약재를 1~2%씩 20~30도 소주 또는 30도 소주에 약주를 1:1로 혼합한 술에 6개월 간 숙성시킨 뒤 음용한다고 적고 있다.
검정 참깨(검정깨(黑荏子)은 통변(通便) 등에 쓰인다.
검은 참깨. 호마(胡麻) 거승(巨勝)이라고도 한다. 일어서 물에 뜨는 것을 버리고 반일(半日) 동안 술에 쪄 볕에 말렸다가 방아에 찧어 거친 껍질을 제거한 다음 살짝 볶아 복용한다. 《의학입문》
황금(黃芩) : 속서근풀의 뿌리. 골증(骨蒸)ㆍ하혈(下血)ㆍ동태(動胎)ㆍ후증(喉症)에 쓰인다..
우엉씨[惡實] : 해열(解熱)ㆍ통경(痛經)에 쓰인다.
현호색(玄胡索) : 자생초(自生草). 땅 밑에 구상(球狀)의 괴경(塊莖)이 있음. 윌경불순ㆍ산후복통 등에 쓰인다.
모향(茅香) : 흰 띄꽃. 토혈(吐血)ㆍ지혈(止血) 등에 쓰인다.
복신(茯神) : 소나무뿌리를 싸고 생긴 복령(茯苓). 이뇨제(利尿劑)로 쓰인다.
우슬(牛膝) : 쇠무릎지기. 이뇨(利尿)ㆍ강장제(强壯劑) 등에 쓰인다.
삼백초(三白草)의 예스러운 말로, 삼백초과에 딸린 다년초(多年草)이다. 키가 15~35cm가량 자라며, 한방(韓方)에서는 중약(重藥)이라고 부르는데, 땅속줄기와 잎을 말려서 이뇨제나 구충제로 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