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에게 좋은 한방 약술은 뭐가 있을까?

국립농업과학원 발효가공식품과에서는 생활문화 한방약술 코너에서는 여성의 갱년기 증상(가슴 두근거림, 요통, 관절통, 우울, 불안, 초조)에 좋은 술이 '갱년기낙약주'라며 임상경험집(臨床經驗集)을 인용해 담그는법을 이렇게 소개하고 있다.
재료는 음양곽(삼지구엽초), 하수오, 숙지황(지황을 쪄서 말린 것)으로 음양곽은 삼지구엽초의 지상부분을 건조한 것으로 잎과 줄기가 무성할 때 채취하여 그늘에 말리고, 하수오는 가을에 잎이 질 때 덩이뿌리를 채취하여 사용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홍만선(洪萬選)이 쓴 산림경제(山林經濟) 제4권 치약(治藥)편에서 음양곽(淫羊藿)에 대해 삼지구엽풀. 선령비(仙靈脾)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나는데 잎은 살구나무잎 같고 잎 위에는 열매가 있다. 줄기는 속한(粟稈 조의 짚)과 같은데 물소리가 들리지 않는 데에서 난 것이 좋다. 《증류본초》5월에 잎을 따서 볕에 말리는데, 술과 배합하면 더욱 좋다.
또 술에 씻어 가늘게 썰어서 배건(焙乾)하여 사용한다.
주로 남자가 절양(絶陽)되어 양(陽)이 일어나지 않거나, 여인이 절음(絶陰)되어 자식을 가지지 못하거나, 노인이 혼모(昏耄)하여 건망증이 있는 데 사용한다. 부인이 오랫동안 먹으면 자식을 가질 수 있다. 하부에 창(瘡)이 있을 적에 씻으면 충(蟲)이 나온다. 《증류본초》
허준이 쓴 동의보감에서 마음은 건강의 주인(心者一身之主)이라고 했다. 참고로 食鹽 少服爲好(소금 섭취가 지나치면 만병의 근원이 된다)이라고 했듯이 그가 이르는 제목에서도 많은 건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12少의 健康法(욕망이나 즐거움은 알맞게)
必審「房勞」(정자마다 유전정보를 간직하고 나온다)
精爲身本(어글리 올드맨은 되지 말아야 한다)
虛心合道(사람의 천명은 일백 이십세)
治未病(오늘날 의사는 오직 생긴 병만 다스린다)
人身猶一國(건강을 다스리는 것은 흡사 한 나라를 다스리는 것과 같다)
食鹽 少服爲好(소금 섭취가 지나치면 만병의 근원이 된다)
玉泉(입안에 생긴 침은 인삼ㆍ녹용보다 좋은 보약이다)
廻津法(키스도 문자를 쓰면 회진법의 일종이다)
醉飽不可走馬車(술을 지나치게 마시면 내장에 독이 쌓여 수명이 짧아진다)
醉不可入房(알콜의 약리작용이 성욕중추를 마비시킨다)
牛乳粥(노인에게 함부로 약을 써서는 안 된다)
中風必有先兆(손끝이 저리고 마비되는 감각이 생기면 중풍을 예방하라)
風者百病之長(사람은 혈관과 더불어 늙는다)
雙和湯(피로하고 으시시할 때 마시는 약)
三不治(몸과 마음을 삼가지 않는 사람은 병을 고칠 수 없다)
乳癌(근심하고 노여워하면 암이 생긴다)
胡麻(참깨를 먹으면 몸이 가벼워진다)
通則不痛(마음이 응어리져서 불통이면 가슴이 아프다)
始富後貪(과학과 철학은 함께 해야 한다)
養肝藥「車前子」(간장은 생명의 중추기관)
眼病所因(건강이 좋아야 눈도 맑게 빛난다)
修養固齒法(정력이 약해지면 뼈도 약해지고 치아도 약해진다)
解酒毒(칡즙ㆍ연근ㆍ생굴은 주독에 좋다)
治中風藥「稀薟」(고혈압에 무슨 약이 좋은가?)
老少之睡不同(사람은 밥보다 잠을 더 참아내지 못한다)
姙娠將理法(임신중절은 가족계획이 아니다)
姙娠禁忌(절제를 지키는 것이 건강법의 왕도)
去妬方(여자의 질투심, 남자의 의처증은 없앨 수 있다)
枸杞(보약은 오래 복용해도 부작용이 없어야 한다)
髮者拔也(왜 여성호르몬은 딴 털은 다 나게 하면서 수염만 못 나게 하는가)
髮者血之餘(모발은 혈액의 영양상태를 나타낸다)
白粥(조반으로 죽을 먹으면 정신이 맑아진다)
老人秘結(변비약은 남녀 노소에 따라 다르다)
能食ㆍ不能食(병중의 입맛은 진단에 도움이 된다)
消渴禁忌(인간의 원시적인 욕망을 절제하라)
齒牀(이의 건강은 신장의 원기로 지켜야 한다)
寒溫中適(음식은 싸늘하거나 땀이 날 정도로 뜨거워서는 안 된다)
茶不可多喫(커피는 빈 속에 마시면 속을 훑어 나쁘다)
常欲小勞(언제나 운동을 하면 썩지 않는다)
小兒夜啼(갓난아기는 울음으로 말을 대신한다)
寢睡法(잠을 옆으로 누워 다리를 조금 구부리고 자는 것이 좋다)
療病式(병은 호미로 막아야 한다)
思結不睡(희노애락이 지나치면 오장이 상한다)
不宜粗速(술이 신장으로 들어가 독이 된다)
補瀉相兼(보만하고 사하지 않으면 성인병이 된다)
양예수(楊禮壽) 등이 쓴 음양곽 의림촬요 제11권에서는 월경(月經)이 오랫동안 중단된 데는 육계(肉桂), 감초(甘草), 황기(黃耆)〔黃蓍〕, 음양곽(淫羊藿)〔薑錢〕, 대추〔棗子〕, 목통(木通), 홍화(紅花)를 더 넣어 쓴다고 적고 있다.
이숲메거진/오인교